본문 바로가기
health & life info

2022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간편조회 방법

by 1st step 2022. 4. 2.

3월 24일부터 2022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공개되었습니다. 4월 12일까지 주택소유자 및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한 후 4월 29일에 최종적으로 공시가격을 확정하여 공시될 예정입니다.

2022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공동주택 공시가격이란?

2.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방법
3. 지역별 아파트 평균가격 및 공시가격 평균 상승률은?
4. 다주택자는 6월1일까지 매각 시 1주택자 과세로

 

1. 공동주택 공시가격이란?

부동산 가격은 크기 시세공시가격으로 구분이 됩니다. 시세는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격을 의미하고, 공시가격은 정부에서 부동산을 조사하여 금액을 산정한 다음 공시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이란 건설교통부 주관으로 다가구주택과 50평미만의 연립주택에 적용하는 과세기준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주거하는 아파트 또한 이 공동주택에 포함됩니다.

공시가격은 재산세를 비롯하여 종합부동산세 등을 과세할 때 부과 기준이 됨은 물론, 건강보험료 등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공시가격의 상승은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기도 합니다. 공시가격이 올라가게 되면 세금이 늘어나게되어 서민경제에 악영향을 끼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부동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에, 올해 공시가격이 어떻게 책정되는지가 많은 국민들의 관심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올해 공지된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어떻게 확인이 가능할까요?

 

2.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방법

지난 3월24일 고지된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아래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러 가기 ◀︎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집주소를 입력하면 2021년과 2022년의 공시가격이 나타나게 됩니다.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거나 혹은 지도에서 바로 검색도 가능합니다. 만약 공시가격에 의의가 있으시다면 해당 화면에서 바로 의의신청도 가능합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확인하는 방법

 

3. 지역별 아파트 평균가격 및 공시가격 평균 상승률은?

2021년 공시가격 상승률은 평균 19.05%였습니다. 올해 2022년에는 지난해보다는 낮지만 그래도 상당히 높은 수준인 17.22%입니다. 

특히 인천의 경우 29.33%로 거의 30%에 육박하는 상승율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세종시의 경우 오히려 4.57%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정부에서는 2022년에도 2021년 공시가격 기준으로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를 과세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 외 공시가격이 영향을 미치는 건강보험료 또한 지난해 2021년 기준으로 과세한다고 합니다.

공동주택 지역별 중위가격은 평균 1억9,200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예상하셨듯이 서울이 가장 높은 4억 4,300만원이고 전남은 가장 낮은 8,520만원을 기록했습니다.

 

4. 다주택자는 6월1일까지 매각 시 1주택자 과세로

재산세 과세기준이 되는 날은 6월 1일입니다. 따라서 다주택자의 경우 그 전까지 다주택을 처분하면 1주택자로 과세되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올해는 우선 2021년 기준으로 과세가 된다고 하니 세금 부담이 늘어나지는 않을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다시 상승된 공시가격 기준으로 각종 세금이 부과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서민경제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습니다. 

댓글